react
-
[React] 번들러(Bundler)Front-End/React 2023. 12. 7. 23:34
🍀 목차글의 목적CRA(Creat-React-App)번들러WebpackVite 글의 목적 처음 React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을 때, 공식 문서에서는 Create React App을 추천해 줬었다. React에 아직 익숙지 않은 개발자에게 Create-React-App은 처음부터 React로 만들어진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가장 편한 방법이었다. 모든 React App을 CRA(Create-React-APP)로 만들어야 하는 줄 알았던 때도 있었다. 시간이 지나며 Webpack, Bundler, Vite 등의 키워드를 마주치는 비율이 높아졌고, 왜 현재는 CRA를 추천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은 지 알고 싶어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글을 통해 번들러(Bundler)에 대한 개념을 대략적으로..
-
[React]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Front-End/React 2023. 12. 1. 18:54
🍀 목차전역 상태상태 관리의 필요성대표적 라이브러리와 콘셉트계속되는 연구들 전역 상태 상태는 변화하는 동적인 데이터이다. 웹 페이지에서 데이터는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변경되기도 하고, 그렇게 변한 데이터가 UI에 나타나기도 한다. React에서는 Component(컴포넌트)들이 State(상태)라는 객체를 가지며, 변경되면 컴포넌트는 리렌더링되어 반영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들은 보통 컴포넌트 안에서 관리되나, 단일 컴포넌트를 넘어 전역적으로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보통 전역이란 단어가 붙으면 프로그램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다를 의미하는데, 전역 상태도 같다. 또한, 상태기에 컴포넌트가 변경을 감지해 리렌더링 해야 한다. 전역 상태의 예시에는 무엇이 있을까?다크모드나 로그인..
-
[Next.js] React와의 Routing 차이점Front-End/React 2022. 7. 15. 02:39
🍀 목차 React.js의 Routing Next.js의 Routing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 들어가며... 이 글의 Routing은 현재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의 최적 경로를 설정해주는 과정이 아니다. 어떠한 URL이 들어오면 그에 맞는 화면을 전송해주는 것을 뜻한다. React.js의 Routing React 공식문서의 Next.js 소개를 보면 기본적으로 스타일링과 "라우팅 해결책"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React에는 어떤 라우팅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일까? 우선 React는 SPA(Single Page Application)이란 것을 알아야 한다. 라우팅은 본래 서버에서 담당했지만, SPA가 등장하며 라우팅을 클라이언트가 담당하게 되었다. 서버에서 담당했던 라우팅은 애플리케이션의..